공익마당

소외계층을 위한 나눔보급 캠페인 “무료 전통혼례“

2023년 행정안전부 비영리민간단체 보조금 지원사업

사업개요

  • 주 최 : 한국전통문화계승선양회
  • 기 간 : 2023. 05. 01∼12. 29
  • 장 소 : 세종대왕기념관 내 궁중대례청 한옥무대
  • 주 소 :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56 세종대왕기념관 내 1층
  • 문 의 : 시민협력국(02-825-6300)
  • 접 수 : E-mail : minsiryun@hanmail.net
  • 후 원 : 행정안전부
  • 협 찬 : (사)세종대왕기념사업회, ㈜세종대왕기념관궁중웨딩홀, (주)궁중대례청, 서울한국전통문화계승선양회, 경기한국전통문화계승선양회

행안부 무료전통혼례

참가안내 및 접수방법

참가구분 세부내용
참가대상 기초수급가정/장애우가정/다문화이주가정/실직자가정/차상위(일반인)계층가정
참가인원 총18쌍(심사위원회 최종심사 선발확정)
혼례장소 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로 56 세종대왕기념관 궁중대례청
신청접수 E-mail 접수, 우편접수, 방문접수
신청방법 ① 서울한국전통문화계승선양회 홈페이지 접속(http://www.msr.or.kr)
② 공익마당 내 서울시 보조금 무료 전통혼례 코너 지원서 양식 다운받아 제출
③ 우편접수(서울시 동대문구 회기로 56길 세종대왕기념관 내 한국전통문화계승선양회 사무총국(02-825-6300)
④ 최종서류 접수 후 심사위원회를 거쳐 최종확정(선발 대상자-개별통보)
⑤ 최종 무료 전통혼례 계약서 작성
증빙자 서류 무료 전통혼례 신청서/대상별 증명서/사연신청서/신분증(각각-당사자) 등
차상위 서류 무료 전통혼례 신청서/4인추천서/사연신청서/신분증(4인각각-당사자)/주민등록등본 각1통
우편접수 02456)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56번길 세종대왕기념관 (방문접수 가능)
E-mail 접수 minsiryun@hanmail.net-(최영광 사무총장)
문의 전화 : 02-825-6300 // Fax : 02-960-1190 사무총국 담당자
주최 한국전통문화계승선양회www.msr.or.kr)
후원 행정안정부

신청서 제출 양식

  • 1)추천서 양식을 다운받아 4명의 추천인의 서명을 각각 받아 접수하시기 바랍니다.
  • 2)신랑신부를 평소 잘 알고 있는 주변분 및 지인(친구) 또는 주소지 관할 반장, 통장, 동장의 추천서에 서명 기입하여 접수하시기 바랍니다.
    ※ 추천자는 반드시 신분증, 전화번호 및 직장관계 당사자 간의 관계 등 구체적으로 표기 요망

혼례 당사자의 증빙서류

  • 1) 신분증 복사 1부-(신랑신부)
  • 2) 주민등록 등본 1부-(신랑신부/4명의 추천인의 주민등록 등본 각 1부)
  • 3) 무료 전통혼례 신청서 1부
  • 4) 추천서 1부

전통혼례 무료제공 품목

무료품목 무료 세부내용 비 고
전문인건비 집례/구성연출/음향감독 등 총3명 무료제공
진행인건비 여집사(4명)/행사요원4명-(준비/철수-가마꾼 병행) 총원8명 무료제공
메이크업 신랑신부 화장 및 헤어 무료제공
원판사진 11×14 원판사진(1조 3매-1판 제공) 무료제공
비디오 비디오촬영(파일원본-이메일 제공) 무료제공
혼례상차림 밤/대추/곶감/사과/배 혼례음식 일체-(모조음식) 무료제공
혼구용품 방명록, 장갑, 축지, 사인펜 등 일체 무료제공
전통복식 신랑신부 및 전 출연진 복식 일체 무료제공
전통소품 전통혼례 진행 소품 일체 무료제공
대/소도구 전통혼례 가마 등 일체 무료제공
행사집기 전통혼례 의자 및 천막 등 일체 무료제공
음향기기 앰프/마이크/스피커 등 1식 무료제공
대 관 료 무료 전통혼례 장소 대관료 무료제공
※ 선택사항 : 원판사진 추가(5만원)/폐백음식(25만원)/피로연음식(뷔페-55,000원)/사물놀이(50만원) ※
※ 필수사항 : 정회원 가입(연회비 : 10만원) ※

무료 전통혼례 식순

  • - 전통혼례식은 삼서정신의 뜻이 담겨져 있으며 첫째는 서천지례라하여
    천지신명과 조상님전에 맹세를 고하고 서부모례(초자례/초녀례-아들/딸에게
    당부)라 하여 신랑신부의 각자의 부모님께 백년가약을 명세하며
    마지막으로는 서배우례라하여 서로 간에 백년가약의 언약을 맹세를 행함
  • - 혼례식은 본디 해가 저무는 초저녁에 양의 기운이 약해지고 음의 기운이
    시작되는 의미에서 초저녁에 혼례식을 올림
  • - 혼례식이란 친영례라고도 하며 신랑이 신부를 맞이하여 장가를 간다라는
    뜻이며 신부가 시집온다라는 뜻은 시댁어른들에게 큰절을 올리는 폐백례를
    행한다는 의미가 됨

전통혼례 개요

전통혼례 홀기(식순)

  1. 1. 신행행렬 - 신랑, 신부가 가마를 타고 시집, 장가 가는 행렬
  2. 2. 초자례 급 초녀례 - 신랑, 신부가 각각 부모님으로부터 덕담과 서약을 행함
  3. 3. 전안례 - 신랑이 기럭아범과 함께 신부 집에 도착하여 백년해로의 서약의 징표로 신부의 어머니에게 기러기를 드리는 예
  4. 4. 교배지례 - 부부가 될 남자와 여자가 처음으로 대면하여 절을 하는 인사. 신부가 두번 절을 한 후 신랑이 답으로 한번 절하는 순서로 두번 반복 함
  5. 5. 서천지례 - 삼라만상의 창조주와 조상님전에 혼인을 고하는 절차
  6. 6. 서배우례 - 신랑과 신부가 술을 반쯤 마신다음 술잔을 교환하여 서로간의 서약을 맹세하는 절차
  7. 7. 합근지례 - 근배례라고도 하는데 근배란 표주박잔이라는 뜻으로 신랑과 신부가 표주박잔에 술을 마시고 부부의 연을 맺는 절차
  8. 8. 예필 - 행사가 종료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