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화면
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맵
소개마당
공익마당
칼럼마당
의례마당
참여마당
궁중돌잔치
궁중장수연
소개마당
인사말
연혁
조직도
역점사업
단체의장
임원
이달의 행사
공지사항
보도자료
후원하기
공익마당
2023년 서울유망축제 지원사업 세종과 함께하는 궁중향연 축제
경기도 지원사업
어르신한마당축제
행정안전부 지원사업
무료전통혼례
서울특별시 지원사업
무료전통혼례
서울특별시 지원사업
청소년 역사문화탐방
문화재 보호단
장인 명품전
자(字) 보편화 운동
표준형 명절제사
보급 운동
칼럼마당
한자칼럼
역사칼럼
한시칼럼
자료실
의례마당
궁중혼례
전통혼례
궁중돌잔치
궁중장수연
전통 성년례
예약상담
참여마당
행사방
사주/작명 풀이
참가신청
참여마당
궁중돌잔치
참여마당
궁중장수연
의례마당
전통혼례 페이지 입니다.
> 의례마당 > 전통혼례
전통혼례
문화재 보호에 앞장서는 국민
1. 신행행렬
- 신랑, 신부가 가마를 타고 시집, 장가 가는 행렬
2. 초자례 급 초녀례
- 신랑, 신부가 각각 부모님으로부터 덕담과 서약을 행함
3. 전안례
- 신랑이 기럭아범과 함께 신부 집에 도착하여 백년해로의 서약의 징표로 신부의 어머니에게 기러기를 드리는 예
4. 교배지례
- 부부가 될 남자와 여자가 처음으로 대면하여 절을 하는 인사. 신부가 두번 절을 한 후 신랑이 답으로 한번 절하는 순서로 두번 반복 함
5. 서천지례
- 삼라만상의 창조주와 조상님전에 혼인을 고하는 절차
6. 서배우례
- 신랑과 신부가 술을 반쯤 마신다음 술잔을 교환하여 서로간의 서약을 맹세하는 절차
7. 합근지례
- 근배례라고도 하는데 근배란 표주박잔이라는 뜻으로 신랑과 신부가 표주박잔에 술을 마시고 부부의 연을 맺는 절차
8. 예필
- 행사가 종료된
혼례란 남녀간의 육체적, 정신적 결합을 의식을 통해 사회적으로 인정받는 것이다.
옛 사람들은 혼인을 일러 인륜 도덕의 시원이며 만복의 근원이라 하였다. 혼인이랑 우리의 일생에서 가장 중요한 사건으로 남녀 두 사람의 즐거움뿐만 아니라 가정이라는 공동생활을 통해 사회발전의 원동력이 된다는 측면에서 관혼상제의 의례 중 가장 큰 경사로 축복을 받아 왔다.